
K팝과 K콘텐츠의 과거, 현재 그리고 미래
The Future of K-pop & K-Content
2021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간 전 세계 트위터에서 78억 건에 달하는 K-pop 관련 트윗이 발생했다. 방탄소년단(BTS)와 블랙핑크(BLACKPINK)를 중심으로 한 K-pop 컬쳐의 글로벌 신드롬과 함께 2020년 전후부터 기생충, 오징어게 등을 중심으로 한 K-content의 글로벌 확장세가 심상치 않다. K팝 엔터테인먼트 관련 업계 및 국내 미디어는 물론 해외의 관련 미디어 및 산업 분야에서도 “How K-pop and K-content drive global phenomenon(K팝과 한국콘텐츠는 어떻게 글로벌 현상이 되었는가?)"에 대해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상황에서 K팝과 K콘텐츠의 미래를 예측해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다. K팝이 음악은 물론 한국 영화, 한국 드라마, 웹툰, 한국 패션 등 한국의 다양한 문화적 요소들과 상호 연관성을 가진다고 보고, 지난 몇년간 ‘한국에서 촉발된 문화장르 (Korea-Oriented POP Culture Genre)’로서의 KPOP (뮤직, 영화, 드라마, 웹툰)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중심으로 트윗량 데이터를 분석하여 글로벌 팬덤 확장 과정을 살펴보고, K-pop & K-content의 향후 5년을 전망해 보고자 한다.
김연정
Twitter 글로벌 K팝&콘텐츠 파트너십 총괄 상무
김연정 상무는 트위터에서 엔터테인먼트(KPOP 뮤직, K무비, K드라마), 스포츠, 뉴스 등 K콘텐츠에 대한 글로벌 파트너십(Global Partnerships)을 총괄하고 있다.
트위터 글로벌 K팝&콘텐츠 파트너십 총괄 상무로서 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KPOP & K-CONTENT에 관한 글로벌 팬덤 및 에코시스템 구축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쌓은 바 있고, 트위터코리아 전략광고사업부 글로벌브랜드 담당 이사, 한국마이크로소프트 리테일세일즈&마케팅 부장, 아디다스코리아 브랜드커뮤니케이션 팀장, 야후! 오버추어코리아 TA팀장 등 다양한 글로벌 기업을 거치며 미디어 & 엔터테인먼트 및 마케팅 & 비즈니스 분야에서 24년째 재직 중이다.
트위터에서는 ‘2021 #BeyondKpop 프로젝트(Globalization of KPOP from Music to Movie, Drama, Webtoon and Beyond)', ‘2020 #KpopTwitter World Map’ 프로젝트, 글로벌 K팝 아티스트, 드라마 및 영화 배우 및 정치사회, 문화예술 관련 한국의 유명인사들과 함께하는 ‘트위터블루룸 라이브(#TwitterBlueroom LIVE-Streaming, 2017년~2022년 현재)’ 프로그램, ‘2017, 2022 대통령선거’, ‘2018 평창올림픽’, ‘2018 남북정상회담 및 북미회담’ 등과 관련한 다양한 콘텐츠 파트너십을 총괄한 바 있다.